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 장마시기, 장마기간
    생활정보 2023. 6. 19. 14:32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6~7월 강수량은 평년에 비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7월 강수량은 평년 245.9~308.2mm보다 많거나 비슷할 확률이 높은 40%, 적을 확률이 20%로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요.

     

    특히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열대 태평양에서 발달하고 있는 엘니뇨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부근데 많은 양의 수증기가 유입되고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2023 예상 장마기간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상청 기상자료포탈에서 확인하시면 장마 평년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6월 25일 ~ 7월 26일이 장마기간이었습니다.

     

    2023 예상 장마기간을 알아보면

     

    중부지방

    예상 장마기간 : 6월 26~7월28일  

    예상 강우량  : 350~390mm

     

    남부지방

    예상 장마기간 : 6월 23일~7월 24일

    예상 강우량 : 350~390mm

     

    제주도

    예상 장마기간 : 6월 19일~7월 20일

    예상 강우량 :  340~380mm

     

    이번 역대급 장마는 평년대비 엘니뇨 발생으로 인해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엘니뇨는 동태평양과 중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대비 0.5도 이상 & 5개월 이상 유지되는 자연현상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해수면 온도가 2도 이상 올라가면 슈퍼 엘니뇨라고 하는데요.

     

    문제는 올해 슈퍼엘니뇨로 인해 역대급 큰 비가 내릴 예정이라는 것입니다.  잘 대비해서 큰 피해가 없어야겠습니다.

     

    장마철 대비 준비사항

     

    가정에서

    우리집과 주변에 비가 새거나 무너져 내릴 곳이 없는지 사전에 점검보수하고, 낡은 지붕은 비닐 등으로 단단히 덮고 묶어서 폭풍우에 날아가지 않도록 합니다.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 담장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정비하고 위험한 곳은 표지판을 설치합니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양수기, 손전등, 비상식략, 식수, 비닐봉지 등을 준비합니다.

     

    상습 침수지역에서

     

    우리집이 수해상습지구, 고립지구, 하천범람 우려지구 등 어떤 지구에 속하는지 미리 알아둡니다. 대피로, 지정된 학교 등 대피장소, 헬기장을 반드시 알아두시고 전화, 확성기 등 통신수단을 확보하여 둡니다.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는 온가족이 알 수 있는 곳에 비치하고 이웃간이 연락방법을 강구하여 둡니다.

     

    농총이나 산간지역에서

     

    배수로를 정비하고 가거물, 비닐하우스 등은 버팀대를 보강하거나 단단히 묶도록 합니다.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 담장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정비하고 위험한 곳은 표지판을 설치한다.

     

    어촌 및 해안지역에서

     

    수산증양식 시설물을 점검하여, 균열, 파손부분은 사전보수하고, 어선의 통신장비 항해장비, 구명장비 등의 기능을 점검하여 유사시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등산, 해수욕장, 낚시터 등 야영장에서는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 악화시 스스로 판단하는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공사장에서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악화시 스스로 판단하는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